20, 30대 청년들 코로나19 정신건강 심각

0
192

“우울하다, 자살하고 싶다” 증가, “두렵다, 불안하다” 감소
맞춤형 심리지원 시급, 정부 “마음건강 회복 적극 지원”
보건복지부,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1분기 결과 발표

코로나19 장기화로 20~30대 청년들의 정신건강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지난 6일 코로나 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현황을 파악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1분기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한국리서치)가 지난 3월29일부터 4월12일까지 전국 거주 19~71세 성인 211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두려움, 불안, 우울,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낙인, 일상생활 방해 정도, 심리적지지 제공자, 필요한 서비스 등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우울·자살생각 증가 등 정신건강 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평균점수는 5.7점(총점 27점)으로, 2018년 실시된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인 2.3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고, 우울 위험군(총점 27점 중 10점 이상) 비율도 22.8%로, 지난해 조사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지역사회건강조사) 3.8%에 비해서는 약 6배나 증가했다.

무엇보다 20~30대가 우울 평균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30대는 2020년 첫 번째 조사부터 꾸준히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는 조사 초기에는 가장 낮았으나, 최근 조사에서는 급격히 증가해 우울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20~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30.0%, 30.5%로, 60대(14.4%)에 비해 2배 이상 높아 젊은 층이 코로나19로 인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우울 점수는 20대 여성이 7.1로 가장 높았고, 우울 위험군 비율은 30대 여성이 31.6%로 가장 높았다.

또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도 16.3%로 2018년 4.7%(2020 자살예방백서)에 비해 약 3.5배 높아졌고, 코로나 발생 초기인 2020년 3월 9.7%와 비교해도 크게 높아졌다.

연령별 조사에서도 우울 분야와 마찬가지로 20대와 30대가 22.5%, 21.9%로 가장 높았고, 50대는 12.5%, 60대는 10.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남성이 17.4%로 여성 15.1% 보다 높았다. 특히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은 25.0%로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이 전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여부는 평균 1.7점(3점 기준)으로, 지난해 조사결과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또 불안 여부도 평균 4.6점(총점 21점)으로 나타나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일상생활 방해정도는 총 10점 중 4.4점으로,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영역별로는 사회‧여가활동(5.3)에 방해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가정생활 방해(4.1), 직업방해(3.9)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시국에서 심리적인 지지 제공자는 가족이 62.6%로 가장 많았으며, 친구 및 직장동료가 21.3%,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9.6%로 나타났다. 하지만 20대, 30대는 가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44.0%, 57.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기대하는 필요 서비스로는 감염병 관련 정보(2.13), 개인 위생물품(2.07), 경제적 지원(2.04)이 높게 나타났고, 정신과치료, 심리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마음건강 대책을 강화하여 추진하겠다”면서, “특히 20~30대 청년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맞춤형 심리지원이 시급한 상황으로 관계부처, 지자체와 협력하여 청년들의 마음건강 회복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